반응형

2025년 3월 26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백악관 기자회견을 통해 전 세계 자동차 산업에 큰 영향을 줄 ‘자동차 관세 부과 조치’를 전격 발표했습니다. 그는 미국 내에서 생산되지 않은 모든 자동차와 경트럭에 대해 25%의 고율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선언했습니다. 이 조치는 4월 2일부터 시행되며, 4월 3일부터 본격적으로 징수가 시작됩니다.

이 발표는 국내외 자동차 업계와 글로벌 무역질서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한국과 독일, 일본, 멕시코 등 미국 자동차 시장에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국가들에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트럼프의 관세 정책 배경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재임 시절부터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와 보호무역주의를 강하게 밀어붙여온 인물입니다. 2025년 재선 후 다시 내세운 경제 정책 기조 또한 미국 내 제조업 부흥과 일자리 회복에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트럼프는 “자동차 산업은 미국 경제의 중추이며, 외국산 자동차가 미국 일자리를 빼앗고 있다”며 이번 조치를 강력하게 옹호했습니다. 그는 “미국에서 생산되지 않은 모든 자동차에 25% 관세를 부과함으로써, 제조업을 미국으로 되돌려오고 엄청난 성장을 이룰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Ohmynews)

 

 

국제사회의 반응: 유럽과 일본의 반발

이 조치는 미국의 주요 무역 파트너들로부터 즉각적인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

  • 유럽연합(EU): 우르줄라 폰 데어 라이엔 EU 집행위원장은 “관세는 결국 소비자에게 부담을 전가하는 조치이며, 유럽과 미국 간의 무역 관계를 악화시킬 수 있다”고 강력 반발했습니다.
  • 일본 정부: 일본 역시 자국 자동차 브랜드의 미국 수출 비중이 높기 때문에 외교 경로를 통해 반대 의사를 전달하고 있으며, 세계무역기구(WTO)에 제소도 검토 중입니다.

멕시코: 북미 자동차 공급망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멕시코 역시 관세 부과가 자국 수출과 고용에 타격을 줄 것이라며 협상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 한국 자동차 산업에 미칠 영향

한국은 미국 자동차 시장에서 상위 3대 수출국 중 하나입니다. 특히 현대자동차와 기아는 매년 수십만 대의 차량을 미국에 수출하고 있으며, 미국 내 현지 공장 가동과 수출을 병행하는 구조를 갖고 있습니다.

  • 2024년 기준: 대미 자동차 수출액 429억 달러 (전체 수출의 약 7%)
  • 현대차/기아차: 미국 수출 비중 약 33% 이상, SUV와 전기차 비중 확대 중

이번 관세 부과로 인해 한국산 차량의 가격 경쟁력이 크게 약화될 수 있으며, 소비자 부담 증가와 판매량 감소로 이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특히 고급 세단, 전기차, 픽업트럭 시장에서의 타격이 예상됩니다. (Hankyung)

 

 

한국 정부와 업계의 대응

트럼프 대통령의 발표 직후, 산업통상자원부는 긴급 민관합동 대책회의를 열고 즉각적인 대응 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정부는 미국 정부와의 외교 채널을 활용해 한국산 자동차에 대한 ‘관세 면제국’ 지정을 추진 중입니다.

또한 자동차 업계와 협력해 다음과 같은 대응 전략을 세우고 있습니다:

  • 미국 현지 생산 확대 검토 (조지아·앨라배마 공장 추가 투자)
  • 수출 차종 조정 및 고부가가치 전기차 비중 확대
  • 북미 자유무역협정(USMCA) 내에서 우회 수출 방안 모색
  • WTO, OECD 등 다자무역 체제를 통한 국제 공조

현대자동차그룹은 “관세 부과로 인한 피해 최소화를 위해 현지 생산 비율 확대와 북미 R&D 투자 강화 등 중장기적 전략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글로벌 자동차 시장과 무역 질서의 변화

이번 조치는 글로벌 자동차 산업뿐 아니라, 국제 무역 질서 자체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과거 트럼프 행정부 시절에도 철강·알루미늄 관세 부과가 무역전쟁으로 번졌던 전례가 있으며, 이번 자동차 관세 역시 미중, 미EU 무역 갈등을 다시 점화시킬 가능성이 있습니다.

글로벌 기업들은 생산기지 다변화, 공급망 재구성, 현지화 전략 확대 등 다양한 대응에 나설 것으로 예상됩니다. 또한 중장기적으로는 미국 내 소비자 가격 인상, 차량 선택권 축소, 고용 감소 등의 부작용도 우려되고 있습니다.

 

 

다시 불붙는 보호무역주의, 그 끝은 어디인가?

트럼프 대통령의 자동차 관세 부과 조치는 단순한 무역 정책을 넘어 미국의 산업 구조, 글로벌 공급망, 정치·외교 관계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파급 효과를 가져올 전망입니다.

한국을 비롯한 주요 수출국들은 이번 조치에 대한 외교적 대응과 산업 경쟁력 강화를 동시에 추진해야 하며, 각 기업들도 단기적 리스크와 장기적 구조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비할 필요가 있습니다.

📺 관련 영상: 트럼프 '자동차 관세' 결정…정부, 긴급 민관대책회의 / 연합뉴스TV

반응형